2013년 1학기 근로보호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1:48
본문
Download : 20131_출석_법학2_근로보호법.pdf
(2) 해고에 대한 법의 제한
근로보호법,근로보호법시험,근로보호법출석대체,근로보호법출석대체시험,근로보호법출석,방송대근로보호법,방통대근로보호법
② 해고: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동의 없이 또는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사용자의 일방적인 의사표시에 의하여 근로계약 내지 근로관계를 장래에 향하여 그 효력을 소멸시키는 행위
- 근로자가 경영의 질서를 상당히 문란케 하거나 노사 간의 신뢰관계를 중대하게 위반 한 경우
(1) 해고의 의의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3) 정당한 이유없는 해고의 금지
제9강 해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 근로자가 회사의 중요한 기밀을 고의로 외부에 유출시키는 행위를 한 경우
제2강 근로기준법의 개관
① 근로기준법 제23조에서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을 하지 못한다고 규정
- 근로자가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의 손해를 끼친 경우
제6강 법정근로시간과 연장근로
- 중략 -
1. 해고의 의의와 제한
② 해고의 정당한 이유: 통상적으로 근로자에게 근로계약을 지속시키기 어려운 중대한 일신상의 사정이나 책임이 있는 경우와 사용자의 경영상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를 말함
순서
②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은 제정될 때부터 해고의 사유와 해고의 시기, 그리고 해고의 절차를 규제함으로써 해고를 다양하게 제한하여 왔음
- 근로자의 무단결근과 근무태도의 불량
제1강 노동법과 근로관계의 개관
Download : 20131_출석_법학2_근로보호법.pdf( 47 )





① 계약당사자의 일방은 자유계약의 원칙에 따라 일정한 요건이나 손해배상을 전제로 자유롭게 계약을 해지할 수 있음
2013년 1학기 근로보호법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설명
제9강 해고
① 근로관계가 종료되는 사유: 퇴직, 해고, 자동소멸 등
제4강 임금의 요건과 지급
제1강 노동법과 근로관계의 개관 제2강 근로기준법의 개관 제4강 임금의 요건과 지급 제6강 법정근로시간과 연장근로 제9강 해고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 포함) -
- 신체 ․ 정신적인 질병이나 사고의 발생 등으로 노동력을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