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 벽화로 본 고구려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04:24
본문
Download : 고분 벽화로 본 고구려문화.hwp
5세기에 이르러 고구려의 새로운 중심으로 떠오르면서 동아시아 세계의 이목을 끌었던 평양, 이 평양을 중심으로 펼쳐졌던 고구려 文化(culture) 의 흐름을 짚어내는 데에 가장 적절하면서도 다른 선택의 여지를 없게 하는 資料가 고분벽화인 것도 이런 까닭이다. 이 글에서는 427년의 천도로 이른바 `평양시대`가 열리면서 고구려사회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으며, 이 변화를 당대의 文化(culture) 산물들은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5세기 평양권 고분벽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2. 5세기의 고분벽화
5세기 고구려 文化(culture) 의 전개과정과 관련하여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투비컨티뉴드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고분 벽화로 본 고구려문화
Download : 고분 벽화로 본 고구려문화.hwp( 97 )
고분벽화로본고구려문화의정체성
다. 후세로 하여금 평양시대를 읽고나서 보며 되살릴 수 있게 하는 것은 고분벽화와 몇 안 되는 고분 출토유물들, 불기운이 완연한 기와와 토기조각, 건물터 정도에 불과하다. 4세기말 이미 천도의 기초가 놓여졌고, 중앙권력 내부에서의 견해 조율이 상당한 기간에 걸쳐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막상 평양으로의 천도가 실행되자 지배세력 안에서 다시 옛 서울과 새 서울의 관계설정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어 이를 둘러싼 견해 충돌이 있고, 갈등이 고조될 정도로 `천도`는 국가적 차원의 관심사였고, 그로 말미암은 influence도 컸다.
고분 벽화로 본 고구려문화
레포트/인문사회
고분 벽화로 본 고구려문화고분벽화로본고구려문화의정체성 , 고분 벽화로 본 고구려문화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1. 서 언
2. 5세기의 고분벽화
3. 평양시대의 전개와 고구려文化(culture)
4. 맺음말
1. 서 언
427년의 평양천도가 장수왕 이전부터 추진되었던 고구려의 국가적 해결해야할문제의 하나였고, 그 파급effect가 고구려 뿐 아니라 주변국가들에도 미쳤음은 이미 잘 알려진 일이다. 졸본에서 국내성으로의 천도 뒤, 무려 400여 년만에 `국토의 남부 깊숙한 곳, 고조선과 낙랑의 옛터 한가운데로` 이루어진 수도 이전은 고구려 정치·사회·경제의 지형도를 크게 바꾸는 일이었으며, 文化(culture) 의 내용과 성격에도 간단치 않은 변화를 가져오게 될 대형 사건이었다. 잘 알려졌듯이 668년의 평양성 함락으로 마무리되는 장기간의 국제전, 뒤이어 수 년 동안 계속된 고구려 부흥전쟁을 겪으면서 고구려의 주요도시들은 `돌무더기 위에서 이리와 승냥이가 우짖는 곳`이 되었으며, 주민들은 포로로 붙잡혀가거나 산간벽지로 숨어든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