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행정]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 /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1:46
본문
Download :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hwp
따라서 이러한 인사명령에 대하여는 업무상 필요한 범위 안에서 사용자에게 상당한 재량을 인정하여야 하며, 이것이 근로기준법 등에 위반되거나 권리남용에 해당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법하다고 할 수 없다. 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0두8011 판결 . 인사명령은 원칙적으로 인사권자인 사용자의 고유권한임 인사규정 제16조는 보직을 해임하고 대기발령을 할 수 있는 사유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고, 대기발령의 형식 및 절차에 관하여는 위 인사규정은 물론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에서도 아무런 정함이 없으며, 대기발령은 인사권자의 인사권에 속하는 사항이므로 그 사유를 명시하지 않았다고 하여 그 자체로 대기발령이 무효로 된다고는 할 수 없다. … 기업이 그 활동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는 노동력을 재배치하거나 그 수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불가결하므로, 대기발령을 포함한 인사명령은 원칙적으로 인사권자인 사용자의 고유권한에 속한다 할 것이고, 따라서 이러한 인사명령에 대하여는 업무상 필요한 범위 안에서 사용자에게 상당한 재량을 인정하여야 하며, 이것이 근로기준법 등에 위반되거나 권리남용에 해당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법하다고 할 수 없고, 대기발령이 정당한 인사권의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는 대기발령의 업무상의 당위성과 그에 따른 근로자의 생활상의 불이익과의 비교교량, 근로자와의 협의 등 대기발령을 하는 과정에서 신의칙상 요구되는 절차를 거쳤는지의 여부 등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근로자 본인과 성실한 협의절차를 거쳤는지의 여부는 정당한 인사권의 행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하나의 요소라고는 할 수 있으나 그러한 절차를 거치지 아니하였다는 사정만으로 대기발령이 권리남용에 해당되어 당연히 무효가 된다고는 볼 수 없다(대법원 1997. 7. 22. 선고 97다18165, 18172 판결, 1999....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순서
설명
[법학행정]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 /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 1. 들어가며 인사명령은 ...
법학행정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 /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Download :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hwp( 22 )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 1. 들어가며 인사명령은 ...
업무명령권 및 인사권에 관한 판례의 태도 연구 . 들어가며 인사명령은 원칙적으로 인사권자인 사용자의 권한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