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군사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03:06본문
Download : 조선시대의 군사제도.hwp
셋째, 양인의 의무군역으로서 당번이 되면 교대로 상경 시위하는 이른바 시위패의 후신인 정병이 있다 이 정병에는 보정병과 기정병이 있는데 이들은 갑사와 더불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5위체제 내에서의 또 하나의 가장 유력한 기간병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5위 중심의 중앙군제는 임진왜난 때까지 제도상으로는 큰 變化(변화)가 없었으나 질적인 면에서의 저하는 적지 않았다. 이리하여 중앙군사력을 이루는 모든 병종은 5위에 들게 되었다.
오위에 소속되어 있는 중앙군의 병종은 대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왕실의 원칙이나 유음자손 및 고급관료의 자손 등 특권지배층의 무능한 자손들에 대한 특전적인 조처로 이루어진 병종이 있다 왕실과 혈족관계에 있는 자들이 속하는 친위, 태조 이성계의 출신도인 함경도 자제들을 우대하기 위하여 설치 친군위 등의 병종이 이에 속한다.
조선시대의 군사제도
순서
근세사
Download : 조선시대의 군사제도.hwp( 37 )
조선시대의 군사제도에 대한 글입니다. 이러한 병종은 한마디로 지배계층을 중심으로 형성된 조선왕조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병종들로 모두 지배계층의 신분과 직결된 대우병들로 사실상 군사적 기능은 거의 보잘 것이 없으며 이들은 상대적으로 왕권유지와도 많은 이해관계가 있는 군대들이다. 즉 대립의 발생, 그리고 진법체제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대각…(생략(省略))
다.
Ⅰ. 머리말
Ⅱ. 군사조직
1) 조선전기의 군사조직
① 초기의 중앙군의 정비
② 초기의 지방군의 정비
2) 조선후기의 군사조직
① 후기의 중앙군의 발달
② 후기의 지방군의 발달
Ⅲ. 군역제도
1) 조선전기의 군역제도
2) 조선후기의 군역제도
Ⅳ. 양인만이 의무를 가진 이유
Ⅴ. 맺음말
오위제도는 여러 군사를 그 병종별로 각기 분속시키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근세사 , 조선시대의 군사제도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설명






레포트/기타
조선시대의 군사제도에 대한 글입니다. 둘째, 신분적인 면보다는 직접 왕권강화에 적극적인 도움이 되는 군사적 기능면에 치중한 병종이 있다 이들은 사실상 오위 병종의 기간병들로 모두가 일정한 무예시험을 통하여 선발된 정예부대들이다 이 가운데는 가장 point이 되는 병종인 갑사나 별시위가 있는데 이들은 거의 무관과 다름없는 대우를 받으며 위병의 구실을 하였다. 이러한 오위체제는 숙종 원년(1469)에 그 소속 병종에 대한 재조정을 거쳐서 경국대전상으로 정비되어 갔다. 또한 5위에는 전국 진관의 지방군사가 위·부별로 분속 되어 있다 즉 각 위는 5부로 구성되었고 각 부는 4통으로 나뉘었으며, 각 통의 아래에는 려·대·오의 계통이 세워져 있었다.